국내 스마트팜에 대한 이해( 필요성과 정부와 민간의 스마트팜 현황)
작성자 : tychung1 분류 : 스마트팜 | 스마트 팜 작성일 : 2020.09.24 23:52:39 추천 : 0 조회 : 803 키워드 : 스마트팜,엔씽,혁신밸리
국내 스마트팜에 대한 이해( 필요성과 정부와 민간의 스마트팜 현황)
(개요)
스마트팜의 진화는 어디까지일까.
.
세계 5대 식량 수입국. 무역수지 적자만 10조4238억원(2018년 기준).
한국 식량 상황이다. 안보와 직결되는 식량자급률 사정은 더 나빠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안으로 떠오른 농업 재배 방식이 스마트팜이다.
2019년 기준 국내 시장 규모는 5조원, 2022년에는 약 6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
.
(현황)
▶정부 2029년까지 7160억 투자
▷대기업·스타트업 도전도 활발
- 농식품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팜 7000헥타르(ha) 보급,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
올해부터 2029년까지 10년간 7160억 원을 투입, 스마트팜 고도화를 추진
- 민간에서도 스마트팜 관련 다양한 시도와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 축산 분야에서는 하림그룹 계열 선진이 앞서 있다.
- 선진 산하 제일종축 농장은 1만6000마리의 돼지
- 식물 재배 부문에서는 스타트업의 활약이 돋보인다. ‘엔씽’의 `플랜티 큐브`가 대표적
.
AI(인공지능)를 적극 활용하려는 시도도 잇따른다.
AI 기반의 영상분석 기술 활용
시설보다 소프트웨어 보급에 집중하는 스마트팜 업체
가정용 식물재배기 보급에 나서는 업체
.
▶데이터 기반 유통 보강해야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가 핵심
“스마트팜은 단순히 스마트제어, 스마트센싱, 모니터링 등 시설 업그레이드에만 초점을 맞추
면 안 된다.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 데이터를 이용한 유통 관리 서비스, 유통시세 분석 등 스
마트 기획·분석이 함께 붙어줘야 국가 차원의 스마트팜 사업이 성공할 수 있다”
.
(원문)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9/98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