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기반기술
작성자 : nhk2050 분류 : 연구개발 | IT 작성일 : 2018.02.22 11:08:18 조회 : 1880 키워드 : 4차산업혁명,폴더블디스플레이,디스플레이기술
(요약/배경) CRT(브라운관) 디스플레이가 FPD(평판디스플레이)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 FPD 내에서 LCD와 PDP의 경쟁도 있었다. 그러나 결국 소비자가 2~3배의 가치를 부여한 것은 ‘평판’이라는 폼펙터의 변경이었다. LCD와 PDP의 기술적 장단점은 결과적으로 큰 의미가 없었다. 이후 FPD는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등평면이라는 특성을 최적화한 어플리케이션등장에 기여하였다. FPD 등장 이후 15년만에 다시 디스플레이가 공간을 창출하기 시작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기반기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휴대폰기기 업체의 디스플레이 기술변화)
삼성이나 애플과 같은 상위 셋트업체들은 정체되어가는스마트폰시장에대비한신규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셋트 업체의 해결책 중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하다. 격차를 좁혀오는 중국 셋트 업체들과의 격차를 벌이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올해 하반기 삼성전자의 프로토타입 폴더블기기 출시가 예상된다. 아이폰의 커브드 디스플레이 채택에 맞춰 기술력을 선도한다는 상징성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관련 소재 개발 및 소재 생산능력 증설도 진행 중이다. 폴더블 기기의 완성도 및 소비자 반응에 따라 2018년 및 2019년 폴더블 기기 판매량에 대한 목표가 수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폴더블에서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시점이다. 폴더블 기기 목표 판매량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플렉서블OLED 추가투자검토가 예상되며, 면적증가 및 신규소재사용에 따른 관련 업체수혜가 예상된다.
그림2. 디스플레이 소재기술변화
(폴더블 디스플레이 소재기술)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개화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재 업체들은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1) 폴더블 공정상 사용되는 신소재, 2) 넓어지는 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소재수요 때문이다. 상기 그림에 나타난 것과 같이, OLED디스플레이 각 소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CPI(Colorless Polyimide);
폴더블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핵심적인 소재이다. 현재 커브드 OLED 스마트폰의 커버글라스는 유리이다. CPI는 기존 PI의 장점인 내열성과 기계물성을 유지하면서, 단점인 흡습성과 색(황갈색)을 제거한 필름이다.
PI 바니쉬(PI Varnish);
PI 바니쉬는 폴리이미드의 액체 상태이다. 기존 Rigid OLED는 TFT 기판을 유리로 사용했다. 하지만 커브드 OLED로 공정이 전환되면서, 기판을 유연하기 위해 액체상태의 PI 바니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베이스필름;
현재 커브드 OLED 디스플레이는 베이스 필름으로 PET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정상에서는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PI 필름으로의 PI 필름으로의 교체가 예상된다. 베이스필름 외 열차폐, 차광, 전자파 차폐 등의 기능성 필름이 사용됨.
Tip
디스플레이기술이 새로워지고 있다. 일명 ‘폴더블’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있다한다. 본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기반기술을 창업자는 알아 두자.
<참고자료·문헌> ☞ 본문 답변과 관련된 사이트, 문헌자료
consensus.hankyung.com/.../file_down.php?pdf=미래에셋대우20170307디스플레이.p...
<전문용어>
디스플레이 기술, 폴더블 디스플레이, OLED, CPI, PI 바니쉬, 베이스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