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창업지식

아이디어사업화 관련 주제 및 설명을 소개하는 코너 입니다.

주제

SQ 인증 취득시 고려사항?

작성자 : 여승구 분류 : 인증 | 공통지식 작성일 : 2017.09.18 13:28:36 조회 : 1737 키워드 :

자동차부품 2차 협력회사로 SQ인증을 받으라는 요청이 와서 준비하려는데

소기업으로 많은 부담요소가 있는데 고려해야할 사항은?


설명

(개요) SQ마크 인증이란, 현대/기아 자동차 2차, 3차 협력사에 대한 품질 인증제도로서 자동차의 품질 향상 요구에 따른 부품업종에 대한 품질 및 신뢰성 확보를 목적으로한다. 원자재 관리, 공정관리, 설비관리, 품질관리, 자재 관리 수준을 정해진 평가표에 의거 평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기업에게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으며, 현재는 현대/기아 자동차 1차 협력업체에 납품하기 위한 기본조건으로 활용되고 있다. 결국 현대/기아 자동차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SQ마크 인증이 필수적이다.

 

(SQ인증 준비 시 고려사항)

  1. 업종별 체크시트를 받아 내부감사를 실시한다
  2. 지적사항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고 담당을 선임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3. 개선대책서를 작성하여 개선전,후 이력을 관리한다
  4. 원자재, 금형관리, 설비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대분류별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5. 설비수리, 필요없는 불용품, 조명시설, 불량품 혼입을 위한 격리공간, 검사실확보

선입선출관리, 보관구역 표시, 금형세척시설 보유 등은 모기업의 재고스탁을 책임져

야하는 중소기업으로서 제조공간은 항상 부족한 상태인데 고객의 관리요건을 충족

시키다 보면 열악한 환경이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전반적인 대응 능력이 있을 때

에 신속히 인증추진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대분류 항목별 주요관리 POINT)

  1. 원자재관리 : 선입선출, 검사장소 확보 및 검사대 활용, 4M 변경품관리
  2. 금형관리 : 금형이력카드 세척관리기준, 방법, 금형 현황판, 금형적치대, 이력관리, S/P관리
  3. 공정관리 : 부적합품격리시건장치/식별준수, 고장설비 감지 및 불량유형 자동검출장치, 세척품에 대한 객관적 자료 – 타당성 검증
  4. 포장공정 : 항온항습관리 (온.습도 제어장치), LOT 추적성 : 공정이송전표 (부품내 각인, 날인 등), 포장용기관리기준
  5. 출하검사 : 출하검사대, 검사원자격 : GAGE R&R, 적격성평가, 조도기준 및 측정

 

<Tip>

SQ 대상업종 : 13개업종(용접, 도금, 주단조, 전기전자, 배합고무, 일반고무, 사출, 도장, 열처리, 와이어하네스, 봉제, 사출금형, 프레스금형) SQ 평가내용 (원자재, 금형관리, 설비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및 개발관리

86점이상 우수협력사선정및벤치마킹 신규개발 참여우선권부여

70점 ~ 77점미만 거래제한, 인증평가 2회누적시 기회상실, 사후평가 2회누적시 인증취소. 70점 미만 물류조정, 평가기회 상실

 

출처 : 현대자동차 SQ인증 제도